top of page

Frontier Nexus

EDUCATION

Frontier Nexus_Axis Intersection

경상국립대학교 대학본부

미래 비전을 담은 글로컬 대학본부

경상 국립대학교 캠퍼스는 증축영역을 기준으로 정문으로부터 개척광장, 중앙도서관을 관통하는 캠퍼스 메인축과 컨벤션 센터, 박물관을 지나는 두 개의 주요한 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새롭게 조성될 통합 대학본부는 경상대 캔퍼스의 두 축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통합대학본부는 수평성과 외부공간의 연결을 강조한 떠있는 매스(Floating Mass), 열주를 재해석한 수직패턴과 창호의 변화를 통한 입면 디자인의 한축(Main Asix)과 기존 대학본부와 증축대학본부를 연결하는 콤플렉스 브리지의 한축(Sub Axis)을 교차시켜, 미래의 중심공간으로서의 상징성과 정면성을 확보하고 경상국립대학의 미래 이미지를 창출한다.

다변화되는 교육 및 업무공간 변화에 대비 가능한 공간 계획

다변화되는 교육 및 업무공간 변화에 대비 가능한 공간 계획

캠퍼스의 메인축에 대응한 간결한 디자인을 통해 통합대학본부로서의 정면성과 상징성을 확보하고 기존 대학본관과 연결성을 강조한 보이드 공간을 통해 업무공간 변화에 대응한다. Complex Bridge는 증축동과 기존동을 연결하며 외부공간과 데크를 통해 연결되어 회의, 휴식 등 다양한 형태가 일어나는 입체적 공간이된다.

경상대 캠퍼스의 컨텍스트를 고려한 통합디자인

경상대 캠퍼스의 컨텍스트를 고려한 통합디자인

통합된 경상대 및 글로컬 대학본부의 미래적 이미지와 기존 대학본부의 수직 입면을 수직루버를 통해 표현하여 글로컬 대학으로서의 상징성을 확보하였다. 정문 진입 시 접근성과 인지성을 고려해 외부공간 계획 및 기존 조경 재식재 등을 통해 역사성과 상징성을 확보한다.

연결을 통한 공간 혁신

연결을 통한 공간 혁신

통합된 대학본부로서의 새로운 정면성과 외부공간을 제안한다. 정문에 진입해서 보이는 대학본부 우측면에 Complex Space를 두어 기존건물과 연결한다. 기존건물은 창호를 교체하여 단열성능을 강화하고 코어를 확장하여 휴식, 커뮤니티 로비의 통합공간인 Complex Space와 연결된다. 증축하는 대학본부는 관통하는 유리매스를 통해 정면성을 강조하고 확장된 조경공간을 통해 진입광장과 연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Landscape Stair를 제안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