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주 동홍동 공공주택

HOUSING

Floating EDU-Platform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공공주택

부양(浮揚)된 건축적장치(Platform)를 이용한 육아와 교육을 위한 안전한 주거단지 만들기

육아와 교육을 위한 클러스터형 단지 _Acting Ground

본 계획부지는 도심의 주거지역 내 있으면서 남측과 북측으로 6미터 이면도로에 접하고 서측으로 20m 도로에 접한다. 주변에 인접하여 주거중심의 시설들이 둘러쌓여 있는 도시속의 섬과 같은 공동주택 부지라는 점이 도시맥락적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신혼부부 중심의 단지로 육아와 교육이 중심이 되는 프로그램을 담고 주변 도시와 유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도시 풍경을 연출하는 단지를 만드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계획의 기본 목표는 안전한 주거환경을 확보하는 전략을 통해 육아와 교육의 실용적인 가치는 물론 공공성을 구현하여 아이키우기 좋은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지상으로부터 Floating(부양浮揚)된 건축적 장치, PLATFORM(판)을 계획하여 지상부 Public 영역과 수직적 공간 분리를 통해 아이키우기 좋은 건축공간의 틀을 완성하였다. 동별 중정공간은 Acting Ground와 주민휴식공간을 제공하여 안전한 놀이공간 및 자연감시가 가능하게 하여 아이들과 부모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길과 커뮤니티를 통해 하나로 통합된 마을 _Street Scaping

길과 커뮤니티를 통해 하나로 통합된 마을 _Street Scaping

주변도시공간을 보행자가로를 연결하고 단지를 매개로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여 도시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계획한다. 주민과 지역 주민이 쉽게 만날 수 있도록 생활가로와 공개공지를 연계하여 주민편의 시설을 계획한다. 가로와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이 연결되어 연출되는 도시공간과 가로경관은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기반시설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공공성의 가치를 또한 실현 하도록 하였다.

아이키우기 좋은 안전한 단지 _Floating Platform

아이키우기 좋은 안전한 단지 _Floating Platform

마을의 시작를 알려주는 진입마당과 아이의 등원을 위한 승하차 공간,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데크 위 작은 놀이터, 방과 후 돌봄이 있는 커뮤니티. 이 모든 것을 통합된 디자인된 단지에 구현하였다. 아이들은 안전하게 미래의 꿈을 키워갈 것이며 부모님들은 실용적이고 정체성 있는 이 마을에 자부심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주변 도시와 소통하는 열린단지 _Public Open Space

주변 도시와 소통하는 열린단지 _Public Open Space

입주민을 위한 단지 경계부 시설 외에도 지역주민에게 개방된 공개공지와 쉼터 공간, 남북으로 통하눈 공공보행통로 성격의 가로계획을 하였다. 폐쇄적 단지가 아니라 경계를 허물고 주변 지역민들과 상생할 수 있도록 하고 도시공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열린단지로서 공공성을 실현하도록 하였다.

안심하고 뛰노는 아이들의 웃음이 가득한 단지

안심하고 뛰노는 아이들의 웃음이 가득한 단지

건축적 장치인 PLATFORM(판)을 계획하여 지상부 Public 영역과 수직적 공간 분리를 통해 걱정없이 아이키우기 좋은 건축공간의 틀을 완성하였다. 개별 중정공간은 작은 Acting Ground와 주민휴식공간을 제공하여 안전한 놀이공간 및 자연감시가 가능하게 하여 아이들과 부모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통일성 있는 경관계획

통일성 있는 경관계획

부정형 형상의 대지에 규칙있는 주동조합과 통일성있는 주거동계획과 입면계획을 통해 정체성(identity) 있는 단지의 큰틀을 형성하고 그 속에서 다양한 외부공간을 계획하였다. 제주만의 아이덴티티가 드러나는 색채를 사용하여 조화로운 경관을 이룰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명확한 보차분리를 통한 보행자 중심 단지

명확한 보차분리를 통한 보행자 중심 단지

부지 남측의 동홍로162번길과 북측의 동홍로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며 각 구역별 주차 배분으로 주동 코어 및 부대시설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차량 주출입구와 보행자 주출입구를 분리하여 아이들에게 안전한 통학길과 드롭오프존을 계획하고 남북측 보행자 주출입구와 연결된 단지 중앙의 노고롯이 광장은 단지의 흐름을 이어준다. 각 구역별 데크층에 위치한 주동 중앙에는 어린이 놀이터를 조성하여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외부공간을 계획하였다.

bottom of page